티스토리 뷰
퇴직소득세 계산기 이용방법 간단하네
오늘은 퇴직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직장인분들 이라면 거의 퇴직금이 있으실건데요. 퇴직금은 근로자가 상당기간을 근속하게 되었을 경우 받아 보실 수가 있도록 되어 지는 일시지급금이에요.
1년 이상 근속해 주신다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이 주어지게 되어 있는데요. 반면 이 소득에 대해서도 세금이 청구가 되어 지게 되어지는데요. 오늘은 국세청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이용해보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에보이시는것처럼 '국세청'으로 방문자분들도 먼저 검색을 통해서 페이지로 접속을 해보셔야합니다.
국세청으로 검색을 하셔서 페이지로 접속을 했으면 상단에 있는 메뉴중 '국세정보'를 눌러주시고 밑에쪽에 나오게되어지는 '국세청프로그램'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러한식으로 눌러주시게 되면 바로 위에보이시는것처럼 나오게 되어 지실겁니다. 이 부분에서 '퇴직소득'을 입력하고 검색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그것들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배포가 되어지고있는 프로그램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클릭을 하게 되면 사용방법에 대하여 안내가 되어져있고, 하단에는 첨부파일이 있으실건데요. 엑셀로 일반적으로 만들어지고 배포가 되어지고있어요.
사용방법 알아볼까요!? 이 방법으로 엑셀을 실행해주세요. 그럼 아래에 탭에서 '기본사항 등 입력'이라고 되어져 있는 부분을 눌러 주시고난 후에 여러분들의 입사일자, 퇴사일자 그리고 근래 급여에 대해서 입력을 해보시면 되는데요.
그리고 나서 하단에있는 탭에서 다시한번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누르게 되어지면 바로 세금이 계산이 되어 지게 되고, 실제 수령가능한 금액이 나오게 되어 지는데요. 오늘은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사용을 하시고 나서 실수령액을 확인하는방법 살펴 보았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좋겠습니다.